나만의 생각/방법

기본 공부법(학창시절)

차가운 불 2023. 2. 21. 04:10
728x90

다양한 공부법

*말: 설명하거나 가르치기(출력이 입력보다 공부량 많음)

*듣: 여러번 듣기 등

*쓰: 노트 필기(손>키보드), 마인드맵

*읽: 교재나 필기

*기타: 쓰면서 읽으면 손&입&&귀 모두 활용(특히 언어 공부(암기포함)), 조별, 대화, 토론, 시험 상황처럼 연습, 직접 보고 직접 해보기, 반복, 공부를 위한 나만의 장소마련, 기출 문제로 부족한 부분 확인

 

주의사항

*틀린거 다시 안틀리게, 뭘 알고 모르는지, 예습한 거 안 잊게 복습 잘, 시험 맞춘 전략(출제자 의도, 출제자 교재)

 

동기

*재미&의미&호기심(바로바로 찾거나 알려주는 것 보다): 문제 정의에 90% 투자(왜 배우는지 등)

*절박

 

공부의 특성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cXGk7udOCE 

*꾸준히 공부해야 뇌가 안 굳음.

*공부=애매, 답답할 때 자료 찾아가며 참고 넘어가는 것

*근육 작용은 뇌 작용에 도움 줌(손짓, 산책 등)

*최고 효율: 배운 내용 안 보고 인출=백지에 써보기=>자발적 시험을 해라(능동 학습)

=>2~3시간 공부하고 맨손으로 산책(기억이 안 나서 답답, 어려워서 답답 모두 공부되는 과정)

*학습=이전 기억과 연결고리가 있어야(스노우볼 굴러가는)

*골고루 학습 후 한 분야를 깊게 돌파하며 지식을 쌓으면 쌓을 수록 알아야 되는 양이 줄어듦

*일단 뭐라도 시작해서 습관화(키보드 두드리기, 매일 기상 후 체중 재기)=자동 반응=비용 없음=의식 안 하며 스타트=>습관=의욕 불러일으킴=멈출 수 없=안 하면 어색(중독과 비슷)=>공부에 대한 보상은 스스로 성취=외부보상 말고

*지식 구조화=에너지 적게 써야=익숙

*가장 중요한 건 양질의 기억(논문=전문가, 책=지식인)->의욕&감정&욕망 생김=감정 생김->공부하고 싶은 마음 생김=간절->뭔가 하고 싶은게 생김(요즘은 지식을 언제 어디서든 찾을 수 있어서 중고등학생들이 뭔가 하고 싶은게 없음)

728x90